경제용어 (4)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 국제수지 (경상수지, 자본수지, 무역수지, 무역외수지) 오늘은 국제수지와 관련된 각종 개념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수지 개념 국제수지(BOP, Balance of Payments)는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와 나머지 국가 간의 모든 금융 거래(수입과 지출) 기록을 말합니다.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의 두 가지 주요 계정으로 구성됩니다. 국제수지의 산출 식 국제수지의 산출 식은 " 국제수지 = 경상수지 + 자본수지" 입니다. 다시 말해, 한 국가의 국제수지가 양수라면 지불한 것보다 다른 국가로부터 더 많은 돈을 받았다는 의미이고, 마이너스 국제수지는 한 국가가 받은 것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했음을 나타냅니다. 경상수지 개념 경상수지에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해외 투자 및 송금으로 얻은 소득과 같이 한 국가와 나머지 세계 간의 모든 무역.. [경제] GDP(국내총생산)과 GNP(국민총생산) 의 정의 오늘은 경제 용어 중 GDP(국내총생산)과 GNP(국민총생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GDP(국내총생산)의 정의 GDP(국내총생산)는 특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국가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 금전적 가치입니다. 여기에는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가 포함되지만 이중 계산을 피하기 위해 중간 재화와 서비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GDP는 국가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고 국가 간 경제 성장을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2020년 주요국가들의 GDP를 살펴보면, 한국의 GDP는 1조 6,300억 달러, 미국의 GDP는 21조 4,300억 달러, 중국의 GDP는 15조 4,200억 달러, 일본의 GDP는 4조 8,700억 달러였습니다. GNP(국민총생산)의 정의 GNP(국민총생산)은 해외 .. [경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오늘은 경제 용어 중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스태그플레이션 정의 스태그플레이션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이 모두 있는 경제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 상태는 성장이 느리거나 존재하지 않지만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침체된 경제를 특징으로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통화 및 재정 정책과 같은 전통적인 경제 정책이 이를 해결하는 데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대한 도전을 제기하는 드문 경제 현상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 및 문제점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 및 문제점에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높은 실업률이 포함되며, 이는 사회 경제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면 저축의 가치를 잠식하고 구매력을 떨어뜨려 소비자 지출을.. [경제] 인플레이션(Inflation) 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요즈음 경제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경제 용어 중 하나인 인플레이션(Inflation)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인플레이션 정의 인플레이션의 정의에 대해 알아봅시다.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비율입니다.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상승하면 통화 단위당 구매량이 이전보다 적어져 구매력이 감소합니다. 인플레이션 발생원인 인플레이션의 발생원인은 화폐 공급의 증가, 상품 및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 가격 통제나 보조금과 같은 정부 정책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및 문제점 인플레이션의 영향 및 문제점 중 하나는 저축 및 채권과 같은 고정 소득 투자의 가치를 감소시킨다는 것입니다. 또한 기업과 소비자가 미래의 비용이나 수익을 정확하게 예측할.. 이전 1 다음